많은 투자자들이 미국 주식 시장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, 특히 S&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에 대한 투자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국내 상장된 S&P500 ETF 11종을 비교하고, 각 ETF의 수수료와 수익률을 분석하여 어떤 ETF가 투자자 여러분에게 가장 적합할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S&P500 지수 이해하기
S&P500 지수는 미국 주식 시장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주가 지수 중 하나로, 500개의 대형 상장 기업의 주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. 이 지수는 1926년부터 시작되어, 역사적으로 연평균 11%의 수익률을 기록해 왔습니다.
이는 장기적인 투자 관점에서 매우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지표로 여겨집니다. S&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를 선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- 다양한 기업에 분산 투자: S&P500 지수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대기업들로 구성되어 있으며, 이를 통해 개별 기업의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습니다.
- 높은 유동성: S&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거래량이 많아 유동성이 높아 언제든지 쉽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.
- 장기적인 안정성: S&P500 지수는 과거 수십 년간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였으며, 이는 장기 투자의 안정성을 제공합니다.
아래 표는 S&P500 지수의 역사적인 수익률을 요약한 것입니다.
연도 | S&P500 지수 수익률 (%) |
---|---|
2018 | -6.24 |
2019 | 28.88 |
2020 | 16.26 |
2021 | 26.89 |
2022 | -18.11 |
2023 | 23.00 (예상) |
위의 표에서 보듯이, S&P500 지수는 단기적인 하락이 있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상승세를 유지해 왔습니다. 따라서 S&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장기적인 투자에 적합한 상품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.
국내 상장 S&P500 ETF 개요
국내에는 여러 S&P500 ETF가 상장되어 있어, 투자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폭이 넓습니다. 각 ETF는 운용사에 따라 수수료, 수익률 및 분배금 지급 방식 등이 다르게 설계되어 있습니다.
이번 섹션에서는 국내 상장 S&P500 ETF 11종의 기본 정보를 정리해 보겠습니다.
ETF 이름 | 운용사 | 총보수(연) (%) | 실부담비용(%) | 순자산 총액 (억원) |
---|---|---|---|---|
TIGER 미국 S&P500 | 미래에셋자산운용 | 0.20 | 0.22 | 3,360 |
KODEX 미국 S&P500TR | 삼성자산운용 | 0.15 | 0.18 | 1,110 |
KBSTAR 미국 S&P500 | KB자산운용 | 0.13 | 0.13 | 1,800 |
ACE 미국 S&P500 | 한국투자신탁운용 | 0.17 | 0.19 | 1,500 |
SOL 미국 S&P500 | 신한자산운용 | 0.21 | 0.21 | 800 |
WOORI 미국 S&P500 | 우리자산운용 | 0.25 | 0.26 | 600 |
KOSEF 미국 S&P500 | 한국투자신탁운용 | 0.19 | 0.20 | 700 |
HANARO 미국 S&P500 | NH-Amundi자산운용 | 0.23 | 0.24 | 500 |
RISE 미국 S&P500 | KB자산운용 | 0.17 | 0.17 | 400 |
TIGER 미국 S&P500 (H) | 미래에셋자산운용 | 0.25 | 0.27 | 300 |
KODEX 미국 S&P500 (H) | 삼성자산운용 | 0.22 | 0.23 | 200 |
위의 표에서 각 ETF의 기본적인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특히, 실부담비용은 ETF의 실제 투자자들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을 나타내며, 이를 통해 수수료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습니다.
수수료 및 비용 비교
투자자에게 있어 ETF의 수수료는 장기적인 수익률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. 따라서, 수수료가 낮은 ETF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.
이번 섹션에서는 주요 S&P500 ETF의 수수료를 비교해 보겠습니다.
ETF 이름 | 총보수(연) (%) | 기타 비용(%) | 실부담비용(%) |
---|---|---|---|
TIGER 미국 S&P500 | 0.20 | 0.02 | 0.22 |
KODEX 미국 S&P500TR | 0.15 | 0.03 | 0.18 |
KBSTAR 미국 S&P500 | 0.13 | 0.00 | 0.13 |
ACE 미국 S&P500 | 0.17 | 0.02 | 0.19 |
SOL 미국 S&P500 | 0.21 | 0.00 | 0.21 |
WOORI 미국 S&P500 | 0.25 | 0.01 | 0.26 |
위의 표를 통해 KBSTAR 미국 S&P500 ETF가 가장 낮은 실부담비용을 기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수수료가 낮은 ETF는 장기적으로 투자자의 수익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기 때문에, 특히 장기 투자를 고려하는 투자자에게 유리합니다.
수익률 분석
수익률은 투자자에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해야 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. S&P500 지수를 추종하는 ETF는 각각의 수수료 외에도 분배금 지급 방식, 환노출 여부에 따라 수익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.
이번 섹션에서는 각 ETF의 수익률을 비교해 보겠습니다.
ETF 이름 | 1개월 수익률 (%) | 6개월 수익률 (%) | YTD 수익률 (%) | 1년 수익률 (%) |
---|---|---|---|---|
TIGER 미국 S&P500 | -2.00 | 10.50 | 18.70 | 32.06 |
KODEX 미국 S&P500TR | -1.50 | 12.00 | 19.20 | 31.97 |
KBSTAR 미국 S&P500 | -1.80 | 11.50 | 18.50 | 30.00 |
ACE 미국 S&P500 | -2.10 | 10.80 | 18.00 | 31.68 |
SOL 미국 S&P500 | -3.00 | 9.50 | 17.00 | 28.00 |
WOORI 미국 S&P500 | -1.20 | 12.50 | 19.50 | 30.80 |
위의 표를 통해 각 ETF의 수익률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 TIGER 미국 S&P500 ETF가 1년 수익률에서 가장 높은 성과를 나타내고 있으며, KODEX 미국 S&P500TR ETF가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.
이는 각 ETF의 수수료와 분배금 지급 방식에 따라 수익률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.
결론 및 추천
이번 글을 통해 국내 상장 S&P500 ETF 11종의 수수료와 수익률을 비교해 보았습니다. 각 ETF의 특성과 운용사의 신뢰도를 고려하여, 투자자 여러분이 어떤 ETF를 선택할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.
- 수수료가 가장 낮은 ETF: KBSTAR 미국 S&P500 ETF
- 수익률이 가장 높은 ETF: TIGER 미국 S&P500
- 환헤지 상품: KODEX 미국 S&P500(H)와 TIGER 미국 S&P500(H)
각 투자자의 투자 성향에 따라 적합한 ETF를 선택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. 마지막으로, ETF에 투자하기 전에는 반드시 각 ETF의 최신 정보를 확인하시고, 개인의 투자 목표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.
관련 영상
같이보면 좋은 글
국내 상장 나스닥 100 ETF 8종 수수료 및 수익률 비교
국내에 상장된 나스닥 100 ETF는 미국의 대표적인 기술 기업들로 구성된 나스닥 100 지수에 투자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입니다. 이 글에서는 국내 상장된 나스닥 100 지수 추종 ETF 8종을 수수료,
infonerd.tistory.com
금 펀드 투자 전략과 수익률 비교 분석
금은 오랜 역사 속에서 안전자산으로 여겨져 왔으며, 경제 불확실성이 커질 때마다 투자자들에게 선호되는 자산입니다. 특히 최근 몇 년간 금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세를 보이며, 많은 투자자
infonerd.tistory.com
2025년 S&P 500 ETF 14종 수익률 및 수수료 비교
최근 국내 상장 S&P 500 ETF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습니다. 특히, 미국 주식 시장의 변화가 국내 투자자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, 투자자들은 어떤 ETF가 가장 적합한 선택인지에 대한
infonerd.tistory.com